국내대학 최초 AI(인공지능) 비전전략 선포식 개최
2021 '전문가초청 인공지능 특강' 개최
지능정보융합원 인공지능연구소에서는 우리대학 구성원의 인공지능역량 함량을 위하여 2월 19일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학술적인 교류 시간을 갖었습니다. 2021 비전공교원대상 인공지능 특강의 호응으로 130여명의 교수님들과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김인중 교수님께서 "딥러닝-Deep Bayesian Neural Networks 핵심개념"에 대한 튜토리얼을 진행하였고 학술적인 Q&A 시간까지 알차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2021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 개최
성균융합원 관할 지능정보융합원 산하 인공지능연구소(SAIRI)에서는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참여교원 등 인공지능분야 비전공 교원의 데이터, AI지식 함양 및 융합연구 증진을 위하여 본 특강을 2월 1일 (월)부터 5일간 진행하였습니다. 지난 2020년 2월에 진행된 인공지능 특강 수강 교원들을 위한 심화과정 포함 총 9개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각 단과대학에서 많은 관심으로 160여명의 교원이 특강 신청을 해주셨습니다.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서 Webex 온라인 특강으로 진행되었으며, 신동렬 총장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총 9명의 소프트웨어 대학 인공지능분야 교원들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이번 특강은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핵심적이고 기반이 되는 "기계학습"과 "딥러닝"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강의를 통해 각 학문분야 연구에 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고, 또한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강화학습" 강의는 인공지능의 세부 응용분야에 대해서 교수님들의 연구분야와 접목가능한 AI역량을 선택적으로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i-Campus 상에서 온라인으로도 수강할 수 있도록 특강 영상을 탑재하였으니 많은 활용바랍니다 (각 과목을 클릭하시면 이동됩니다).
SKKU 인공지능(AI) 교류회 개최
SKKU 인공지능(AI)교류회 개최 SKKU 인공지능(AI) 교류회가 7.28., 8.4., 8.11. 3일간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센터에서 인공지능연구소와 지능형ICT융합연구센터 공동주최로 개최되었다. 이번 교류회는 지난 2월 비전공교원 대상 인공지능 특강이후 제안된 AI 융합 관련 과제를 해당 교원이 소개 발표하고 인공지능 분야 소프트웨어학과 교원들과 질의 응답, 문제 진단, 솔루션으로 진행되었다 webex 를 통한 온라인, 오프라인 으로 진행된 교류회는 다양한 제안 발표(의학약학분야 8개, 자연과학분야 6개, 인문사회과학분야 8개)로 예정된 회의 시간을 넘겨 진행되었다. AI 융합 과제뿐 아니라 다양한 AI 교육, 각 연구 도메인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지원 방안 협의 필요성도 제안되었다. 방학 기간 중임에도 소프트웨어학과 교원 포함하여 총 42명의 교원이 참여하였다. [7.28.(화) 의학 약학분야 AI 융합과제 제안 발표] 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함수연, 혈액종양내과 이윤규 교수 - Development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technology for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 Development of Medical Language Processing for radiologists 2.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안현주 교수 수술장에서 항상 측정하는 6개 모니터를 기반으로 15분 후의 저혈압을 예측하기 위한 Machine-learning Algorithm의 개발 3.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 박승정 교수 인공지능을 이용한 심장돌연사 및 뇌경색 유발 부정맥 발생 위험도 예측 4.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 김종원 교수/정재완 전공의 응급실 도착 환자의 전문 진료 과목 예측 프로그램 개발 5.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서상원 교수/이혜주 교수 AI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경과 개인별 예측 알고리즘 개발 6.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이세훈 교수 임상-유전체 데이터 통합분석을 통한 면역항암치료제의 인공지능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Immunotherapy response prediction model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ntegrated analysis of clinical and genomic data 7.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조동규 교수 인공지능을 이용한 Alzheimer 치매 동물 모델의 행동패턴 분석과 인지기능변화 예측 8.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박주경 교수 1) 췌장낭성종양의 악성 변화 예측 모델 구축 2) 췌장암 조기 진단 모델 구축 3) 담낭 용종의 악성 변화 예측모델 구축 4) 담도 비후의 악성 변화 예측모델 구축 5) 췌장암 환자의 엑소좀 분석을 통한 예후 인자 예측 [8.4.(화) 자연과학분야 AI 융합과제 제안 발표] 1.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우한민 교수 Deep Mutation (Which DNA Mutations -> Higher Product levels?) at the BioFoundry 2.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박성하 교수 인공지능기반 DNA 패턴역학 개발 및 응용연구(Development of AI-based DNA Mechanics) 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채희엽 교수 반도체 제조공정의 플라즈마 모니터링 및 빅데이터 분석 (Plasma Real-Time Monitoring and Bid Data Analysis for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4.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이상호 교수 단백질 삼차구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새로운 단백질 구조 예측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on Protein Data Bank) 5.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김선국 교수 6.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정대교 교수 재난∙안전 빅데이텨∙AI 연구 [8.11.(화) 인문사회과학분야 AI 융합과제 제안 발표] 1.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국정전문대학원 전희정 교수 로드뷰 이미지와 기계학습을 활용한 보행교통사고 다발지역 예측 2.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영상학과 이준희 교수 -Tree 구조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 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스토리 branch 생성 -관상학을 이용하여 CG 캐릭터(군중)에 특정 인상을 부여하는 가능성 3.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과 구자준 교수 AI Thinking (Design Thinking by AI) 4.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영상학과 변혁 교수 인공지능을 통한 <균와아집도> 공감각 재현 프로젝트 5.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구정우 교수 혐오표현 탐지 인공지능 모델 개발 6.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 한애라 교수 Legal AI와 규제 7.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 배병호 교수 인공지능과 법학의 이슈들 8.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한국철학과 박소정 교수 한국인의 생각의 지도: 우리, 이-그-저 [소프트웨어대학 인공지능 분야 참여 교수진] 소프트웨어학과 정태명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김광수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이지형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허재필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김유성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이종욱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고영중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우사이먼성일 교수 소프트웨어학과 추현승 교수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김장현 교수
김광수 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디지털 뉴딜 관련 토론 발제
'디지털 경제 시대, 디지털 뉴딜은 어디로 가야 하나'를 주제로 발제하는 김광수 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디지털 뉴딜, 민간 주도로 진행해야 ICT 업계 "규제 혁신 필요" 이날 출범식에선 이영 의원을 좌장으로 한 ‘디지털 경제 시대, 디지털 뉴딜은 어디로 가야 하나'를 주제로 토론회도 열렸다. 토론회는 정부가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외치며 내놓은 디지털 뉴딜 정책의 개선점 논의가 주를 이뤘다. 발제를 맡은 김광수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디지털 뉴딜 정책은 경제 혁신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시의적절한 대책이다"라면서도 "쉽지 않은 계획이기에 정부의 재정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김 교수는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디지털 뉴딜 혁신 대상의 초점화 ▲민간 중심 추진 ▲장기적 관점 일자리 유도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우선 혁신 대상을 명확히 해 비전을 제시하고 종합적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모든 부분을 혁신하기보다는 혁신 대상을 좁혀 비전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디지털 뉴딜 추진 주체는 민간에서 맡아야 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뉴딜의 궁극적 목표가 AI 응용을 통한 경제 혁신이며 주요 사업도 민간 AI 데이터 구축인 만큼 수행 주체는 민간이 돼야 한다는 논지다. 그가 이처럼 주장한 데는 최근 정부가 AI 허브를 조성하고 무료로 데이터를 개방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그는 이 같은 정부 정책이 자칫 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 민간에서 데이터 제공 기업이 있는 가운데 자칫 정부 개입으로 구축된 생태계가 파괴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현재 각 기업은 차별화된 데이터를 시장에 공급하면서 경쟁력을 갖는다. 하지만 정부가 AI허브로 똑같은 데이터를 제공하면 각 기업 경쟁력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기업에 데이터 독점 활용 기회를 주는 식으로 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마지막으로 단기 일자리가 아닌 장기적 관점의 안정적인 일자리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해 참여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 뉴딜 사업 참여 기업은 인력 교육과 장기 고용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AI 산업 창업 교육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찬 의원 역시 김 교수 발언에 힘을 보탰다. 그는 "정부는 마중물 역할일 뿐 최종 정착지는 민간이어야 한다"며 "정부가 디지털 뉴딜 정책을 시작할 때 민간 창출 효과를 고민해야 한다"고 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규제 혁신을 요구하는 현장 목소리도 이어졌다. 안성우 직방 대표는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고 성장하면서 발생하는 부작용은 규제하는 게 맞다"면서도 "온라인 사업에 규제가 더 많은 만큼 이를 개선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 인터넷 기업 양대 산맥인 카카오와 네이버는 글로벌 기업과 규제 불균형 해소를 요구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한국 서비스 기업과 외국 서비스 기업은 모두 같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하지만 규제 노출과 벌칙 등은 동일하지 않다"며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게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도 "한국 기업이라고 해서 법적 규제가 먼저 시행될 게 아니라 같은 기준으로 규정을 적용받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6/2020070602419.html
인공지능 특강 i-Campus 비정규 강좌 개설 안내
2021년 2월에 진행되었던,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 특강에 대하여 i-Campus 비정규강좌 개설이 완료되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되며 첨부파일의 접속방법을 참고하여 수강하시길 바랍니다. -기계학습(일반과정) 소프트웨어학과 이지형 교수 -기계학습(일반과정) 소프트웨어학과 박진영 교수 -기계학습(심화과정) 소프트웨어학과 우사이먼성일 교수 -딥러닝(일반과정) 소프트웨어학과 김광수 교수 -딥러닝(일반과정) 소프트웨어학과 최준희 교수 -딥러닝(심화과정) 소프트웨어학과 박호건 교수 -자연어처리 소프트웨어학과 고영중 교수 -컴퓨터비전 소프트웨어학과 허재필 교수 -강화학습 소프트웨어학과 김유성 교수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 개최 안내
성균융합원 관할 지능정보융합원 산하 인공지능연구소(SAIRI)에서는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참여교원 등 본교 인공지능분야 비전공 교원의 데이터, AI지식 함양 및 융합연구 증진을 위하여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을 2월 1일 (월)부터 2월 5일 (금)까지 5일간 진행합니다. 2020.02. 진행된 인공지능(AI)특강을 수강하신 교원분들을 위한 심화과정도 개설될 예정이오니 아래의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어 관심교원분들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 1. 일시 : 2.1.(월)~2.5.(금) 총 5일간, 오후 1시~5시 2. 진행 : 온라인 특강(Webex) 3. 특강과목 1) 1~2일차 : 기계학습(일반, 심화) 2) 3~4일차 : 딥러닝 (일반, 심화) 3) 5일차 : 컴퓨터 비전/ 자연어처리/강화학습 중 택 1 ※ 5일에 걸쳐 총 3과목(필수2과목, 선택1과목)이 진행됩니다. 4. 참여대상: 본교 전임교원(4단계 BK21 사업 참여교원, 관련분야 관심교원 등) 5. 특강교원 : 본교 인공지능 분야 교원(각 개설교과목별 담당교원은 추후 배정예정) 6. 특강신청 : 각 단과대학 행정실 7. 문의 : 성균융합원 (박현성 milkeny@skku.edu , 031-290-5705)
SKKU 인공지능(AI) 교류회 개최 안내
인공지능연구소(SAIRI)는 SKKU 인공지능(AI) 교류회를 개최합니다. SKKU 비전공 교원 대상 특강 프로그램 이후 제안된 융합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 공동과제로 도출을 위해 정기적인 교류회 행사를 기획하였습니다. 주제분야별로 인공지능 기술 접목 제안 발표와 적용 방안에 대한 토론으로 연구 시너지를 내서 연구력 질적 향상에 기여코저 하오니 많은 교수님들의 참여 신청바랍니다 프로그램 안내 1. 프로그램명 : 비전공교원 대상 인공지능(AI) 교류회 2. 일시: 추후 안내 1회차 : 2020년 7월 28일 (화) 오전 10시, 의학약학분야 제안 2회차 : 2020년 8월 4일 (화) 오전 10시, 자연과학분야 제안 3회차 : 2020년 8월 11일 (화) 오전 10시, 인문사회과학분야 제안 3. 장소: 자연과학캠퍼스 산학협력센터 447호, webex 온라인 동시 진행 4. 자문교수단 : 소프트웨어학과 교원
온라인 인공지능 강좌 개설
지난 2월에 SKKU 비전공 교원 대상 인공지능(AI) 특강이 뜨거운 호응속에 진행되었습니다. 특강 내용을 온라인 수강에 맞추어 편집, i-Campus에서 성균관대 교직원은 누구나 수강 하실수 있습니다. 개설 교과목 1. 기계학습 (소프트웨어학과 이지형 교수) 총 14회차 기계학습 2. 딥러닝(소프트웨어학과 김광수 교수) 총 9회차 딥러닝 3. 자연어처리(소프트웨어학과 고영중 교수) 총 5회차 자연어처리 4. 컴퓨터비전(소프트웨어학과 허재필 교수) 총 5회차 컴퓨터비전 5. 강화학습(소프트웨어학과 김유성 교수) 총 5회차 강화학습 수강방법(크롬브라우저 이용 권장) - 각 과목을 클릭하시면 바로 이동-> 킹고 아이디 로그인->수강 - 성균관대 아이캠퍼스(https://icampus.skku.edu/)-> 킹고 아이디 로그인->비정규강좌->과목검색->수강신청->학습하기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