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SITEMAP
SKKU
LOGIN
Search
Enter a Keyword
Search
인공지능융합원
SAIRI
Search
Enter a Keyword
Search
융합원 소개
인사말
비전
조직
오시는길
연구
연구/사업 분야
연구센터
구성원
원장
겸직교원
참여교원 및 소속교원
커뮤니티
뉴스
공지사항
세미나
자료실
Menu
융합원 소개
인사말
비전
조직
오시는길
연구
연구/사업 분야
연구센터
인공지능기업협력센터
인공지능신뢰성센터
구성원
원장
겸직교원
참여교원 및 소속교원
커뮤니티
뉴스
공지사항
세미나
자료실
Close
Search
Enter a Keyword
Search
HOME
ENG
SKKU
LOGIN
커뮤니티
뉴스
커뮤니티
뉴스
공지사항
세미나
자료실
뉴스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 내용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2025 월드클래스 최고 전략 아카데미 운영
우리 대학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의 ‘월드클래스 CEO 아카데미’ 교육 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향후 3년간 연 2회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지난 1기에 이어 이번 AI·DX 글로벌 혁신 전략가 과정도 인공지능융합원(원장 김광수)에서 운영하며, 중소·중견기업 CEO와 임원, 차세대 리더, 전문직 종사자, 공직자 등 각계 리더 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3월 28일 판교 캠퍼스에서 입교식을 시작으로 총 14주간의 교육훈련, 해외연수 및 워크숍을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광수 원장은 “AI·DX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기업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교육생들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은 통찰력과 주도력을 갖춘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본 교육과정은 교내 교수진과 외부 전문가가 함께하며, ▲AI·DX 혁신 전략과 글로벌 생태계 ▲글로벌 DX 사례 분석 ▲데이터 기반 경영과 디지털 거버넌스 ▲팀별 맞춤형 AI·DX 전략 수립 실습 ▲원우회 중심의 네트워킹 ▲ 대만 해외연수를 통해 글로벌 혁신사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인공지능융합원 송경희 산학교수는 “성균관대학교는 앞으로도 기업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실질적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강지훈 경과원 경제이사는 “이번 프로그램이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리더를 배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과원과 성균관대는 올해 하반기에 ‘제3기 월드클래스 최고전략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더 많은 경기도 기업이 AI·DX 전략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작성일
2025-04-01
조회수
52
첨부파일
(1)
2024학년도 동계 비전공교원대상 AI특강 (교류회) 개최
성균융합원과 인공지능융합원은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참여교원 등 우리 대학 인공지능 분야 비전공교원의 데이터 및 AI 융합 연구와 교육 활성화를 위해 제 7회 동계 인공지능(AI) 특강을 개최하였다. 이번 특강은 1월 13일(월)부터 1월 21일(화)까지 총 6일간 진행되었으며, 자연과학캠퍼스 화학관, N센터 강의실 및 Zoom을 통해 이루어졌다. 김광수 인공지능융합원장은 " AI 특강은 약 5년간 소프트웨어학과 9명의 교수가 참여해 AI 기본 및 응용 개념 강의와 간단한 실습을 제공해왔으며, 약 500여명 이상의 교원이 참여했다. 지난 여름학기부터는 실습 수업을 추가해 연구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내용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은 슈퍼컴퓨팅센터 서버를 활용한 기계학습 및 딥러닝 실습(김광수 교수)과 ChatGPT API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 실습(박진영 교수)으로 구성되어 비전공자도 AI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를 다루고 AI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AI기술의 확산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프라이버시(최영진 산학교수), AI신뢰성 확보 및 기술적 대응방안(송경희 산학교수)등 중요한 주제를 다루는 강의도 신설되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AI관련 규제 동향과 법규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강에는 하계처럼 교수와 대학원생이 함께 참여해 협력과 소통을 증진시키는 한편, 학습과 연구 중심의 융합 문화를 조성하는데에도 기여하였다. 권영욱 (자)부총장(겸 성균융합원장)은 환영 인사를 통해 "우리 대학은 여러 학문 분야 간 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다년간 AI 특강과 연구협력을 통해서 AI 기술을 교육과 연구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려 노력해왔다. AI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지금, 이 자리에 참여한 교수와 대학원생들은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개척자로서 용기와 도전이 돋보인다"고 말했다. 본 AI특강은 4단계 BK21 대학원 혁신지원사업에서 지원했으며, 강의 녹화 편집본은 아이캠퍼스에 업로드 된다.
작성일
2025-02-20
조회수
98
첨부파일
(0)
" AI 알고리즘과 정체성:개인, 집단 그리고 교육의 변화" 심포지엄 개최
인공지능융합원은 12월 4일부터 3일간 문화예술미디어융합원, 글로벌융복합콘텐츠연구소, 트랜스미디어연구소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시대 - 사회, 문화, 기술 속에서 인간 정체성 변화" 주제로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 2일차 세션은 권영욱 성균융합원장, 김광수 인공지능융합원장, 변혁 문화예술미디어융합원 부원장의 개회사, 축사와 송경희 인공지능융합원 교수의 사회로 시작되었다. "AI알고리즘과 정체성: 개인, 집단, 그리고 교육의 변화" 주제로 5분 전문가의 발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되었다. 발제 1. 알고리즘 시대의 개인화된 경험과 자아형성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김재인 교수) 발제 2. AI알고리즘으로 인한 사회변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안성원 실장) 발제 3. AI교육환경에서의 학습자 정체성과 교육적 변화 (한국교육개발원 박승재 본부장) 발제 4. 개인화된 학습 콘텐츠 플랫폼과 정체성 ((주)단감소프트 임성웅 대표 발제 5. 인공지능 시네마를 위한 영화도상학 (동의대학교 미래영화연구소 전병원 소장) 종합토론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이 인간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연과학, 인문과학 그리고 예술학 등 다각도로 탐구하고자 3일간 행사로 기획되었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AI와 인간 정체성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논의하며, AI기술이 사회와 문화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AI 시대에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지속 가능한 발전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조망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이를 통해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사용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작성일
2024-12-17
조회수
268
첨부파일
(1)
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 사업 3기 수료식 개최
인공지능융합원 인공지능기업협력센터에서 수행중인 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 사업 3기 수료식이 지난 11월 15일에 개최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대학기업 협력형 SW 아카데미 사업'은 성균관대(주관기관), 경기대, 인하대 등 경인지역 대학생들이 10개월간 함께 참여하여 총 155명의 수료생을 배출하였다. 이 사업은 산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SW 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등 고도화된 기술을 습득하고, 취업을 위한 실무 경험을 제공하는 국가 주도의 SW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아카데미 사업 수료생들은 맞춤형 커리큘럼을 통해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는 기회를 얻었다. 또한, 교육생 선발부터 커리큘럼 구성, 기업과 실무 프로젝트 실습 등 모든 교육과정에 기업들이 참여해 공동으로 진행했다. 신세계아이앤씨, SK C&C, MDS테크, KB국민은행, 레브웨어, 인피니트헬스케어, 유플렉스소프트, 파수, 웹캐시, 오비고, 우암코퍼레이션, 에스테크, 이안에스아이티, 행복한다람쥐단, 아이와이씨앤씨 등 15개 기업이 참여했다. 교육과정은 현장 인력 수요가 많은 AI, 스마트팩토리, 헬스케어, 게임, 스마트카 등 5개 산업 도메인에 필요한 대학 기초교육(240시간), 기업 실무교육(40시간), 실습 프로젝트(360시간) 등 총 640시간을 수행했다. 특히, 실습 프로젝트는 교육생들이 SW 이론교육을 받은 후 원하는 기업과 2개월간 기업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수료생 3기는 총 155명(성균관대 44명, 경기대 63명, 인하대 48명)의 우수한 교육 수료생을 배출했다. 참여기업들은 자사의 기술력을 제공하고 대학생들은 기업의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목하고 혁신적인 SW를 개발하는 경험을 얻었다. 현재 3기 수료생 중 일부는 현대모비스, LG에너지솔루션, 미래에셋자산운용 등에 취업이 확정된 상태이다. 이번 수료식에서 개인 우수상 수상자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상으로 총 8명의 우수 교육생이 선정됐다. 최우수상을 받은 경기대학교 전민주 학생은 내년도 스페인에서 개최되는 MWC 해외연수 대상자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관련기사 전자신문 2024.11.18.)
작성일
2024-11-21
조회수
429
첨부파일
(0)
인공지능신뢰성센터, 법무법인 세종과 'AI 신뢰체계' MOU 체결
센터와 세종은 지난 9월 13일 경기도 성남시 성균관대 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날 김광수 인공지능융합원장, 송경희 센터장, 김형태 교수, 세종에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을 역임한 윤종인 세종 AI데이터 정책연구소장, 올해 초 발족한 세종 AI센터를 이끌고 있는 장준영 변호사, 박창준 변호사가 참석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AI 연구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상호교류와 협력을 하기로 했다. 대학과 로펌이 국내 인공지능 윤리 및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공동연구와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자리로 AI의 신뢰 체계 및 윤리 정립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주도해 나가며 산업별 맞춤형 AI 윤리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관련기사 법률신문 2024.09.19.).
작성일
2024-11-20
조회수
365
첨부파일
(0)
성균관대-경기대-인하대, ‘K-Softvation Showcase’ 실무형 프로젝트 경진대회 개최
성균관대-경기대-인하대, ‘K-Softvation Showcase’ 실무형 프로젝트 경진대회 개최 - 경인지역 대학생 27개 팀, IT기업과 5개 산업분야 프로젝트 진행…실무 경험 축적 신세계아이앤씨가 주최하고 성균관대-경기대-인하대가 주관한 K-Softvation Showcase 본선 행사가 지난 8월 29일(목) 경기 성남 차바이오콤플렉스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대학·기업협력형 SW아카데미사업의 프로젝트 경진대회이다. 성균관대학교(주관대학), 경기대학교, 인하대학교는 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총괄책임자 성균관대학교 김광수 교수) 컨소시엄을 구성해 경인지역 대학생들의 소프트웨어 인재양성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에 (주)신세계아이앤씨가 교육전문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SK C&C, (주)MDS테크, KB국민은행, (주)레브웨어, (주)유플렉스소프트, 인피니트헬스케어, (주)오비고, (주)이안에스아이티, 아이와이씨앤씨(주), (주)에스테크, 행복한다람쥐단 등 12개 IT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는 올해 3기 교육생 188명과 함께 기초교육, 기업실무과정을 마치고 5개 분야 프로젝트(AI,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카, 헬스케어, 게임) 중 교육생이 희망하는 기업과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참여기업들이 가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학생과 기업 간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기업의 기술이 접목해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만들어졌다. 이날 진행된 본선 행사 전 진행된 예선에서는 도메인별 총 27개팀이 참여했으며, 최종 본선 진출은 AI(4팀), 스마트팩토리(1팀), 스마트카(1팀), 헬스케어(1팀), 게임(1팀) 등 8개 팀이 선정되었다. 최재유 前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이 참석해 직접 시상을 진행하였으며 정보통신기획평가원장상으로 대상(1팀, 200만원 상금), 최우수상(1팀, 100만원 상금), 우수상(3팀, 각 50만원 상금), 장려상으로 사업단장상(2팀, 각 30만원 상금), 신세계아이앤씨 대표이사상(1팀, 30만원 상금)이 수상팀에게 전달되었다. 서성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부회장은 본 행사에 참석하여 교육생들의 프로젝트 협업을 통해 기업의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이기에 바로 취업과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본 행사의 총괄책임자인 성균관대 김광수 교수는 “이번 K-Softvation Showcase 행사를 통해 경인지역 대학생들이 AI기반의 SW역량을 향상시키고,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함으로써, 지역산업 기반의 SW전문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소중하고 뜻깊은 행사가 되었다.” 라고 전했다. 구분 도메인 팀명 프로젝트 주제 참여 인원 대상 (200만원) 스마트 팩토리 Tech Titans 스마트폰 액정의 파손 정도를 진단하는 서비스 6 최우수상 (100만원) 스마트카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조! 운전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 개발 4 우수상 3팀 (각50만원) AI 익명성 축구 중계 및 분석 지원 서비스 3 AI 오늘은 해설왕 야구 경기영상의 실시간 해설자막 생성 4 헬스케어 페메해조 개인 맞춤형 피부관리 서비스 6 장려상 3팀 (각30만원) AI 에스파(aespa) 지능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 4 게임 뱀서류 탄막 생존 게임 3 AI SAVEWAY AI 도로 시설물 파손 감지 및 관리 사용자 서비스 7
작성일
2024-11-20
조회수
196
첨부파일
(0)
2024 AI융합연구지원사업(1단계) 결과발표 교류회 개최
성균융합원과 인공지능융합원은 8월 20일(화)부터 양일간 AI융합연구지원사업 1단계 결과발표 교류회를 진행하였다. AI융합연구지원사업은 다양한 교내 학문 분야와 인공지능과의 융합연구 기회를 제공하여 후속연구까지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시행해오고 있다. 첫 날인 20일(화)에는 ▲경영분야를 시작으로 ▲인문 ▲사회 ▲소프트웨어융합 ▲예술분야 10개 과제에 대한 연구내용 점검 및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1일(수)에는 ▲공학 ▲약학 ▲메타바이오헬스학 ▲의학분야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AI융합연구지원사업은 외부 사업비가 아닌 순수 교비가 연구에 투입되며 연구에 대한 대학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또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간의 다차원적 융합을 촉진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교류회는 2일간 온·오프 하이브리드로 진행되었으며, 총 20개 융합과제에 대한 참여 교원들의 논의는 우리 대학에 큰 영감을 주었다. 목 차 2024 AI융합연구지원사업(1단계)결과발표/인문사회과학‧SW융합‧예술/2024.8.20.(화) 1.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서아영 교수 (AI 매칭 : 조재민 교수) 딥러닝을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시각적 컨텐츠에 대한 심미적 평가 및 판매 인기도 예측 2.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이동성 교수 (공동연구자 : 남태우 교수) 행정과 경영의 경계선에 대한 실증적 연구:국제 학술지에 나타난 유사점과 상이점을 중심으로 (Are Public and Private Mangement Fundamentally Unalike in All Important Respects? Revisiting Sayre’s Proposition) 3.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황호덕 교수 (AI 매칭 : 정윤경 교수)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여성화-현대화:2000년대 이후 여성문학 연구의 흐름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4.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천정환 교수 (AI 매칭 : 김장현 교수) Linked Open Data(LOD)의 자연어처리를 활용한 학술 데이터베이스 참고문헌의 서지정보 식별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5.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지영 교수 (AI 매칭 : 우사이먼성일 교수) 딥페이크 셀프모델링(deepfake self-modeling)학습을 통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증진방안 연구 6.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윤성민 교수 (AI 매칭 : 오하영 교수) 불면증을 위한 AI 기반 인지행동 치료제 개발 (Developing AI-Driven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Insomnia(aCBT-1) 7.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이혜진 교수 (AI 매칭 : 고종환 교수) 가상 매력의 공식: 가상 인플루언서의 시각적 및 텍스트적 특성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8.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 과학수사학과 정두원 교수 (AI 매칭 : 박진영 교수) Deceptive AI 포렌식 방안에 대한 연구 9.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글로벌융합학부 이창준 교수 (AI 매칭 : 오하영 교수) 도심에서 개인 동선의 녹지 노출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끼치는 영향 (Urban Green Exposure and Health outcomes) 10.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영상학과 이재준 교수 (AI 매칭 : 오하영 교수) 게임IP "화이트데이"에서 비주얼노벨 텍스트 생성을 효율적으로 돕는 인공지능 챗봇 개발에 관한 연구 목 차 2024 AI융합연구지원사업(1단계) 결과발표/공학‧의학‧약학‧융합/ 2024.8.21.(수) 1.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최민하 교수 (AI 매칭 : 김광수 교수) Super resolution 및 객체 탐지 모델을 활용한 SAR 영상 기반 수체 탐지 기법 개발 2.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양우석 교수 (공동연구자 : 조형민 교수)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기반 인공지능 모델링을 이용한 국한 환경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수명 예측 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이상욱 교수 (AI 매칭 : 박호건 교수) OLED 소재용 유기분자의 ST gap 예측을 위한 GNN기반 기계학습 모델 개발 4.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이소아 교수 (AI 매칭 : 허재필 교수) 심장 오가노이드 기반 약물 평가 효율 증진을 위한 AI기반 약물 효능 예측 기술 개발 5. 성균관대학교 성균융합원 메타바이오헬스학과 김요한 교수 (AI 매칭 : 박현진 교수) 정상 및 간암 환자 유래 간 조직과 오가노이드 매칭 분석을 통한 조직 내 세포미세환경 및 질병 발달 분석 연구 6.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유진수 교수 (AI 매칭 : 박현진 교수) AI기반 증강현실 수술 서포트 모델: 복강경 수술 영상과 자기공명췌담도영상(MRCP) 3D 담도 모델의 AI 기반 실시간 정합모델 개발 7.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류희준 교수 (AI 매칭 : 이지형 교수) 맞춤형 면역치료를 위한 3차원 구조 모델 기반 면역 수용체 특이성 예측 (Prediction of T cell receptor specificity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for personalized mmunotherapy) 8.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박경진 교수 (AI 매칭 : 김재광 교수) 마른 한국인 인구집단에서 대사관련 지방간질환의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모델의 개발 9.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이승원 교수 (AI 매칭 : 한진영 교수) 전국민 보건의료데이터와 일본 관동지방 의료데이터를 이용한 암경험자 심혈관질환 예측모델 개발 1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도종걸 교수 (AI 매칭 : 김광수 교수) 기관 절개술 환자에서 AI기반 음성 생성 시스템의 실제 의료 환경 적용성 및 사용자평가
작성일
2024-09-19
조회수
887
첨부파일
(0)
2023 AI융합연구지원사업(2단계) 연구결과 발표회(교류회) 개최
인공지능융합원은 지난 2024년 4월 26일 [2023 AI융합연구지원사업] 2단계 수행과제 결과발표회를 개최하였다. 다양한 교내 학문 분야와 인공지능과의 융합연구 기회를 제공하여 후속연구까지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1단계에 이어 2단계 공동연구를 수행한 13개 과제의 결과발표와 논의로 진행되었다. 김광수 인공지능융합원장의 진행으로 지난 1년간의 결과 공유, 향후 연구계획 및 외부과제화 방법등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다. <인문사회과학분야> <스포츠과학/자연과학/공학> AI융합연구지원사업은 외부 사업비가 아닌 순수 교비가 연구에 투입되는 것으로 연구에 대한 대학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사업의 중심에는 ‘인공지능’이 있지만 우리 대학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간의 다차원적 융합을 촉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역할을 하고 있다. 목차 1.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김나연 교수 (공동연구자 : 김광수 교수)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분석과 인지심리학적 실험결과에 기반한 영어 생략구문 처리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2.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박유정 교수 (공동연구자 : 범정현 교수) 대화분석이론을 토대로 한 한국인의 영어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챗봇) 개발 연구 3.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채인영 교수 (공동연구자 : 허재필 교수) 뉴스 미디어의 AI 앵커와 인간 앵커의 활용을 통한 시너지 효과 분석 4.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동양학과 김도일 교수 (공동연구자 : 김장현 교수) AI persona 재해석을 통한 AI tutor 개발의 초석 놓기 -동아시아 고전 모델을 통해 보는 특화 모델의 한 방향성 5.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김민아 교수 (공동연구자 : 오하영 교수) 소아청소년암 생존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AI 기반의 챗봇 개입의 적용 가능성 탐색 6.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비자학과 황혜선 교수 (공동연구자 : 김장현 교수) AI기반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조기진단 프로그램 개발 7.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글로벌융합학부 이용정 교수 (공동연구자 : 조재민 교수) 암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제공 알고리즘 개발 8. 성균관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 스포츠과학과 김경민 교수 (공동연구자 : 김재광 교수) 균형감각 AI 모델 구현과 실효성 검증 9.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박성하 교수 (공동연구자 : 이지형 교수) 기계학습기반 DNA 연구 10.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이준 교수 (공동연구자 : 이지형 교수) 인공지능 기반 CAD 모델 특징 추출 및 CLIP 3D 프린팅 공정 변수 최적화 11.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최혜영 교수 (공동연구자 : 정윤경 교수) NLP에 기반한 코로나 전/후 서울시 도시공원 이용 행태 변화상 연구 12.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조새벽 교수 (공동연구자 : 고종환 교수) 기계학습을 이용한 다진 광논리기반 이미지 센서의 색선택적 인식률 최적화 1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진상윤 교수(공동연구자 : 범정현 교수, 박민수 박사후연구원) 인공지능기반 건설산업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면 간섭 조정 및 최적화 기술 개발
작성일
2024-08-09
조회수
508
첨부파일
(0)
2024 하계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교류)' 개최
성균융합원-인공지능융합원, 2024 하계 실습기반 비전공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 개최 성균융합원과 인공지능융합원은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참여교원 등 우리 대학 전임교원 중 인공지능 분야 비전공자들의 데이터, AI지식 함양 및 융합연구 증진을 목적으로 제6회 하계 인공지능(AI) 특강을 개최하였다 이번 특강은 지난 1월 교육 후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교수님들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을 반영하여, AI활용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설하였다. 슈퍼컴퓨팅센터 서버를 활용한 기계학습 및 딥러닝 분야의 실습과 ChatGPT API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 분야의 실습으로 구성된 4일간의 집중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교수님들께서 데이터를 다루는 능력과 AI 모델을 활용하는 능력을 한층 더 강화하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교수님들과 함께 대학원생들도 참여하여, 교수님과 학생 간의 협력과 소통을 증진시키고, 함께 학습하고 연구하는 문화를 조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원생들도 실질적인 AI 기술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강은 7월 29일 (월)부터 8월 1일 (목)까지 총 4일간 자연과학캠퍼스 화학관 강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1~2일차는 소프트웨어학과 김광수 교수의 기계학습, 딥러닝 실습, ▲3~4일차는 박진영 교수의 ChatGPT API를 활용한 자연어처리 분야 실습으로 진행되었다. 유지범 총장은 영상 인사를 통해 “이 자리에 함께하신 교수님들 간, 학생 간의 상호 교류와 협력 연구의 장으로써 친분을 나누어 주시길 바란다”며 “우리 대학의 융합연구 분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당부하였다. 무더운 여름 날씨에도 불구하고 30명의 신청교원, 23명의 학생이 열띤 학문적 토론과 함께 실습 특강에 참여하였다. 이번 하계 실습 특강의 강의녹화 편집본은 아이캠퍼스에 업로드 된다.
작성일
2024-08-09
조회수
398
첨부파일
(0)
2024 '비전공 교원대상 인공지능(AI) 특강(교류)' 개최
성균융합원과 인공지능융합원은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참여교원 등 우리 대학 전임교원 중 인공지능 분야 비전공자들의 데이터, AI지식 함양 및 융합연구 증진을 목적으로 인공지능(AI) 특강을 개최하였다. 2020년 2월 처음 열린 특강은 2024년 현재 5년차를 맞이하며 500여 명에 가까운 전임교원 참여를 이끌어내, 우리 대학의 주요 연구 교류회로 자리 매김하였다. 지난 1월 8일(월) 자연과학캠퍼스 N센터 강의실 및 ZOOM에서 강의교원과 신청교원들이 모였다. 유지범 총장은 영상 인사를 통해 “본 자리를 일회성 강의 청강이 아닌 상호 교류를 통한 협력 연구의 장으로 생각하고 친분을 나누기 바란다”며 “우리 대학의 융합연구 분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당부하였다. 참석한 교원들은 이어 권영욱 성균융합원장, 김광수 인공지능융합원장의 격려사 및 상호 인사 등으로 구성된 개회식을 마치고, 12일(금)까지 열띤 학문적 토론과 함께 특강에 참석하였다. 본 특강은 1월 8일(월)부터 12일(금)까지 ▲기계학습(일반, 심화) ▲딥러닝(일반, 심화) ▲자연어처리/컴퓨터비전/강화학습 등 총 9개 강좌가 개설되어 자연과학캠퍼스 N센터 및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인 Zoom을 통해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님들의 실감있는 강의와 연구원들의 실습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연구에 적용 가능한 부분을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앞으로 참여 교수님들의 연구 데이터를 적용해보는 등 필요한 부분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운영계획이다.
작성일
2024-01-30
조회수
1472
첨부파일
(0)
1
2
3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을수 있습니다.